reset 옵션에 대해 이해하려면 깃의 3가지 공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깃의 3가지 공간은 아래와 같다
1. Working directory
2. Staging area
3. Repository
이렇게 세 가지 공간이 있는데
1번에서 file들을 저장하고 add 하면 2번으로 이동하고
2번에서 commit하면 3번으로 이동한다
파일을 수정하면 3번에서 다시 1번으로 돌아간다
git reset options
--soft: repository에서 staging area로 이동
--mixed (default): repository에서 working directory로 이동
--hard: 수정사항 완전히 삭제 (repository에서 아예 세 가지 공간 중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음)
git checkout
git checkout HEAD~~ 로 시점을 이동해서 브랜치를 새로 만들 수 있다
reset과는 조금 다른 점이 이동하면 이름은 부여되지 않은 새로운 브랜치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돌아오려면 그냥 'git switch 원하는 브랜치' 요렇게 하면 되는 것 같다
제대로 파는 Git & GitHub - by 얄코 수강 하며 공부한 내용입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 strategy, 깃 브랜치 관리 전략 공부 (0) | 2022.08.20 |
---|---|
git 커밋 날짜 지정 (0) | 2022.08.20 |
git rebase (0) | 2022.08.19 |
git merge 중단하는 방법 (0) | 2022.08.19 |
git branch 생성, 이동, 삭제 (0) | 2022.08.19 |
reset 옵션에 대해 이해하려면 깃의 3가지 공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깃의 3가지 공간은 아래와 같다
1. Working directory
2. Staging area
3. Repository
이렇게 세 가지 공간이 있는데
1번에서 file들을 저장하고 add 하면 2번으로 이동하고
2번에서 commit하면 3번으로 이동한다
파일을 수정하면 3번에서 다시 1번으로 돌아간다
git reset options
--soft: repository에서 staging area로 이동
--mixed (default): repository에서 working directory로 이동
--hard: 수정사항 완전히 삭제 (repository에서 아예 세 가지 공간 중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음)
git checkout
git checkout HEAD~~ 로 시점을 이동해서 브랜치를 새로 만들 수 있다
reset과는 조금 다른 점이 이동하면 이름은 부여되지 않은 새로운 브랜치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돌아오려면 그냥 'git switch 원하는 브랜치' 요렇게 하면 되는 것 같다
제대로 파는 Git & GitHub - by 얄코 수강 하며 공부한 내용입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 strategy, 깃 브랜치 관리 전략 공부 (0) | 2022.08.20 |
---|---|
git 커밋 날짜 지정 (0) | 2022.08.20 |
git rebase (0) | 2022.08.19 |
git merge 중단하는 방법 (0) | 2022.08.19 |
git branch 생성, 이동, 삭제 (0)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