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TIL

2023 TIL - 간단하게 기록해둔

[230102] 노드 버전이나 다른 버전들 볼 때 LTS라는 말을 들어보긴 했는데, Long Term Support의 줄임말이었다. [230118] mybatis의 parameterType에는 String 을 쓸 수 없다. => parameterType 안에 들어있는 클래스의 getter 메서드로 받아오는 방식인데 String은 getter 방식이 아니므로 에러발생 if 사용 할 때는 #{_parameter}라는 지정된 이름을 사용하면 알아서 변환이 된다고 한다. myBatis parameterType="String" 일 때 동적쿼리에서 사용 parameterType="String" 일 때 마이바티스 if문을 사용 시 위 그림처럼 넘긴 파라미터명 그대로 사용하면... blog.naver.com

TIL

storybook

우연히 히츠개발자 브이로그를 보다가 storybook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프론트엔드 개발에 storybook이라는 컴포넌트 명세 툴을 사용하고 있었다. 검색해보니, 컴포넌트 별로 기록을 남길 수 있어서 내가 아닌 다른 개발자가 합류할 때 공유가 쉬울 것 같다는 장점이 있을 것 같았다. 사이드 프로젝트 코드 리팩토링 한번 끝나면 적용해 보아야겠다.

TIL

[MySQL] 문자열 SPLIT, LIKE 사용할 때 글자수 제한

1. 문자열을 SPLIT 할 때는 SUBSTRING_INDEX를 사용하면 됩니다. SUBSTRING_INDEX('오늘은 월요일이에요~', ' ', 1) -> 결과 : 오늘은 2. LIKE에서 '%-%-%'로 날짜를 찾으려는데, '2022-12-121'이런 것까지 다 잡길래 % 가 아니라 _를 사용했습니다. LIKE('사_')로 쓴다면 '사랑' '사과' '사자' 이런식으로 '사'로 시작되는 두글자 단어를 결과로 반환 LIKE('____-__-__')

TIL

ssh 접속시 username

ssh 접속 할 때, username이 뭔지 몰라서 당황한 하루였다 ㅎㅎㅎ 괜찮아 오늘 알았으니까! ssh username@xxx.xx.xxx.xx Termius라는 앱을 사용하여 ssh 접속을 해 보았다! 터미널로만 접속했었는데 이런 방법도 있다니 너무 신기하다 ㅎㅎㅎ

TIL

multipart/form-data PUT 말고 POST 사용하기

multipart/form-data로 전송하는 것의 '수정' 기능을 구현하는 중에 에러가 발생했다. PutMapping을 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어서 검색해보니, multipart/form-data는 PUT이 아니라 POST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참고 https://mangkyu.tistory.com/218

TIL

한성 무접점 키보드 Caps 키 고장

한영키 전환이 안돼서 찾아보니 초기화를 시켜주면 될 수도 있다고 해서 초기화를 해 보았다 모델명은 GK686B이고 초기화 방법은 아래와 같다 ESC + CTRL + INS + 우측 방향키 키보드의 네 귀퉁이(?)를 5초간 누르면 초기화가 된다. 초기화를 시켜준 후, 윈도우로 되어있는 키보드 설정을 맥으로 변경해 주면 되는데 FN + ALT 3초간 누르면 FN키 위에 불이 들어오면서 맥으로 설정이 변경된다.

TIL

Overriding, Overloading

Java에서 다형성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메서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이 있다고 한다. 오버로딩(Overloading) : 같은 이름의 메서드 여러개를 가지면서 매개 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다르도록 하는 기술 오버로딩은 메서드 오버로딩과 생성자 오버로딩이 있다.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여러개 정의하고,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유형의 호출에 응답 오버라이딩(Overriding) :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해서 사용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도 하위 클래스로 상속되어 하위 클래스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위 클래스에서 메서드를 재정의 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메서드 이름이 서로 같고, 매개 변수가 같고, 반환형이 같을 경우에 상속 받은 메서드를 덮어 ..

TIL

REST API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2000년도에 로이 필딩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소개되었다고 한다. 로이 필딩은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으로 그 당시 웹(HTTP) 설계의 우수성에 비해 제대로 사용되어지지 못하는 모습에 안타까워하며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REST를 발표했다고 한다. REST는 자원(Resource) - URI, 행위(Verb) - HTTP METHOD, 표현(Representations)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Reference https://meetup.toast.com/posts/92

mean-ji
'TIL'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