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페이먼츠 Docs PG사 선정 후, 토스페이먼츠의 Documentation에서 빌링 관련 부분을 보며 공부를 해 보았다. 친절한 문서에 감사함을 느꼈다🙂 https://docs.tosspayments.com/ 토스페이먼츠 결제 연동 문서 온라인 비즈니스의 성공, 토스페이먼츠가 도울게요. docs.tosspayments.com 서비스에 적용할 기능 1. 빌링 (카드 정기 결제) ➡️ 카드 등록과 동시에 1회차 결제 진행 현 상황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카드정보 입력하는 결제창이 뜨지 않고 API로만 빌링이 작동하도록 설계하고 구현해 보았다. 구현에 관련된 글은 따로 작성 후 이곳에 첨부할 예정이다. 서비스 신청 개발 테스트를 진행 후, 결제 서비스 신청하기를 진행했다. 이런 저런 정보를 입력 후(사업자등록..
결제 시스템 프로젝트 결제 시스템이 따로 없이 꽤 많은 수고를 거듭해 결제를 진행하고 있는 기존의 방식에서 온라인 결제를 통한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결제 시스템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나는 결제 시스템 프로젝트의 DIR을 맡았다 결제 정산 프로세스 결제 정산 프로세스에 대해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흐름이 진행되는 것 같다 PG사와 VAN사에 대해 토스페이먼츠피드를 보고 공부했는데 정리한 내용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VAN사 PG사 공부 VAN의 개념과 역할 incredible-larkspur-091.notion.site PG사 선정 토스페이먼츠도 PG사 이고, 이 글을 읽고 나서 PG사를 토스페이먼츠로 제안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사심 가득, 나는 토스에 오랜 팬이다. ㅎㅎ) 전자결제서비..
요즘 결제팀에 소속되어 개발과 PO 역할을 함께 담당하고 있는데, PO는 처음이다 보니 관련 지식을 쌓고 싶어서 토스팀의 PO SESSION을 보게 되었다. 정말 정말 유익했고, (돈 내고 들어도 될 강의라는 댓글이 있었는데 나 또한 그렇게 느꼈다) 생각날 때마다 들여다보기 위해 정리한 것을 블로그에 남기려고 한다.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 꼭 알아야할 개념 PO가 알아야할 개념으로 Carrying Capacity를 이야기 해주셔서 처음으로 Carrying Capacity에 대해 알게 되었다. MAU를 들어보기만 했지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못했었는데 Carrying Capacity 개념으로 측정해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해당 제품이 가지는 본질적인 체력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