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ERROR] Port already in use: 1099

mac > 터미널 lsof -i :1099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PID를 복사해서 아래의 명령어로 kill 해주면 됩니다. kill -9 PID

Spring

[Spring] Controller에서 MultipartFile로 파일 받기 (다른 값들과 함께 받는 방법)

FE: Nuxt(Vue) FE에서 등록할 때 등록할 값들과 사진이 함께 전달됨 (multipart/form-data) (this.$axios.post( ('https://'), formData, { withCredentials: true, headers: { 'Content-Type': 'multipart/form-data', Authorization: // token } } ) ).then(res => { }).catch((error) => { window.alert(error.response.data.message) }) formData 만드는 법 const formData = new FormData() formData.append(key, value) ** 사진을 여러장 보낼 때 this.files..

Spring

no properties discovered to create BeanSerializer (to avoid exception, disable SerializationFeature.FAIL_ON_EMPTY_BEANS)

상황: MyBatis에서 sqlSessionTemplate.selectList하는 과정에서 발생 원인: resultType 에 해당하는 Vo에 @Getter, @Setter 를 추가하지 않아서

Spring

BeanDefinitionStoreException: Failed to parse configuration class

out 폴더 내용을 다 삭제한 후 다시 실행 변경 전, Bean의 이름이 사라지지 않는 문제라고 한다. Reference https://hangjastar.tistory.com/242

Spring

DTO, VO, Entity

DTO(data transfer object) DTO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객체 주로 View, Controller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활용 DTO는 getter, setter 메서드 외의 비즈니스 로직은 포함하지 않는다. publ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 setter가 있는 경우, 가변 객..

Spring

Builder 패턴

Lombok을 이용해 @Getter, @Setter를 사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는데, 빌더 패턴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꽤 많은 장점이 있는 것 같아서 공부해 보게 되었다. Builder 패턴은 Effective Java의 규칙인 것 같다. (최근 Effective Java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궁금해서 이 부분도 추가로 공부해 볼 예정이다.) 🥑 생성자에 인자가 많을 때는 빌더 패턴을 고려 빌더 패턴이란 복합 객체의 생성 과정과 표현 방법을 분리하여 동일한 생성 절차에서 서로 다른 표현 결과를 만들 수 있게하는 패턴이라고 한다. 레퍼런스 블로그 개발자 분은 생성자가 많아지면 빌더 패턴을 만드는 편이라고 한다. 이유로는 빌더 패턴을 활용하면 어떤 필드에 어떤 인자를 넣어 주었는지 명확히 알 수 있고, 넣어줄..

Spring

ResponseEntity

@Controller는 MVC패턴에서 View를 반환한다고 한다. 반면, @RestController는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반환한다고 한다. @RestController에서 ResponseEntity를 반환하는 형태로 사용을 했는데 ResponseEntity에 대해 정리해 놓으면 좋을 것 같아서 기록을 남기려한다. HttpEntity는 HttpHeader와 body를 가질 수 있다. Res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속받고, HttpStatus를 가지기 때문에 상태코드를 리턴한다. // 단순한 메세지와 상태코드 200을 리턴 return new ResponseEntity("success", HttpStatus.OK); // 객체를 응답하고 상태코드를 오류로 반환 Message me..

Spring

Exception 공부

페이먼츠의 길은 멀고도 험한 것 같다ㅎㅎ;; 테스트 모드에서 카드결제, 빌링 프로세스는 완료했는데 Exception부분의 코드가 부족한 것을 느꼈다. 문제라고 생각해서 무조건 해결해야겠다고 생각했고, 제대로된 예외처리를 위해 공부한 기록을 남기려 한다. 레퍼런스 블로그를 보고 열심히 공부해 보았다. [제 공부를 위해 적으면서 머리에 넣은 거라 원본 글 보시는 게 더 좋을 거예요~!!] 먼저 스프링은 예외처리를 위해 다양한 어노테이션을 제공한다고 한다. 레퍼런스 블로그의 글은 일관성 있는 코드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Exception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통일된 Error Response 객체 Error Response 객체는 항상 동일한 Error Response를 가져야 한다. 이유: 그..

mean-ji
'Spr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