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 오라클 리눅스 8 상황 : nginx 설치 했으나, 80번으로 접속했을 때 연결 거부함. 해결 : 방화벽 오픈 후, 방화벽 재시작 // 방화벽 오픈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tcp --permanent // 방화벽 재시작 firewall-cmd --reload 인증서 연결이 안돼서 삽질 하다가ㅠㅠㅠ 원인은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이었다. 분명 포트 확인했을 때 443 열려있는 걸 확인해서 왜 안되지.. 했는데 netstat -nap | grep LISTEN 그냥 다시 포트 오픈 후 재시작 해주니 되었다😅😂
ip:3000 으로 접속하면 정상 작동하는데, ip로 접속하면 에러가 나서 한참 찾다가 (nginx 설정 제대로 완료한 상태) nginx log를 검색해보니, (명령어 : sudo tail -f /var/log/nginx/error.log) connect() to 127.0.0.1:3000 failed (13: Permission denied) while connecting to upstream 이런 에러가 발생하고 있었다. 검색해보니, SELinux 의 httpd 설정이 필요하다는 참고 블로그의 말을 듣고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해 보았다. sudo setsebool -P httpd_can_network_connect on 명령어 실행 후 다시 접속해보니 정상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행 ..
사이드 프로젝트를 Netlify 로 배포하고 운영하다보니, (nuxt 프로젝트) 블로그나 홈페이지 같은 정적 사이트가 아니라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target을 server로 하고 배포하고 있어서 nuxt의 dynamic directory를 잡지 못하고 404로 반환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이로인해 가장 중요한 홍보 수단이었던 카카오톡에서 og 태그들을 인식하지 못해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겪을 것 같아 서버 이전을 고민했고, 런칭 초기인 지금 빨리 이전하는 게 맞겠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에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NGINX로 웹서버를 구축하고 Docker로 프로젝트를 띄운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보았습니다. (+https 연결 과정도 남겨두었습니다.) 계정 생성 https://c..
Check for Updates를 하게 되면 우측 하단에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팝업이 뜬다. 이번 버전 UI 변화가 가장 큰 변화가 아닐까 싶다. (설정에서 변경해야한다! 처음엔 기존 버전 UI가 보인다) 아이콘들이 되게 귀엽게(?) 바뀐 부분이 인상깊다:) 그 외에도 많은 부분이 변경 되었다. 변경된 부분에 대한 정보는 문서화가 잘 되어있어서 나도 아래 사이트에서 한번 읽어보았다. https://www.jetbrains.com/ko-kr/idea/whatsnew/
1. 문자열을 SPLIT 할 때는 SUBSTRING_INDEX를 사용하면 됩니다. SUBSTRING_INDEX('오늘은 월요일이에요~', ' ', 1) -> 결과 : 오늘은 2. LIKE에서 '%-%-%'로 날짜를 찾으려는데, '2022-12-121'이런 것까지 다 잡길래 % 가 아니라 _를 사용했습니다. LIKE('사_')로 쓴다면 '사랑' '사과' '사자' 이런식으로 '사'로 시작되는 두글자 단어를 결과로 반환 LIKE('____-__-__')
ssh 접속 할 때, username이 뭔지 몰라서 당황한 하루였다 ㅎㅎㅎ 괜찮아 오늘 알았으니까! ssh username@xxx.xx.xxx.xx Termius라는 앱을 사용하여 ssh 접속을 해 보았다! 터미널로만 접속했었는데 이런 방법도 있다니 너무 신기하다 ㅎㅎㅎ
이번 글은 소스트리에서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에러를 해결한 기록입니다. 참고 자료 블로그를 읽어보니 접속 서버에서 새로운 서버나 ssh를 설치했을 때 발생하는 에러라고 하는 것 같았어요. 소스트리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 이유를 생각해 보면, (저의 추측으로는) bitbucket.org에 새로 서버나 ssh 설치를 하게 되었고, ip는 같은 걸 사용해서 기존에 연결 되어있던 ssh 인증이 새로운 서버, ssh 측에서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 아닐까라는 결론을 내려보았어요 :)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1. 다음의 명령어로 /Users/[사용자 명]/.ssh/known_host에 있는 ssh-key를 삭제합니다. ssh..
FE개발자 분과 디자이너 님께서 작업하시다가 불편하신 점이 있어서 해결해 드린 경험을 기록으로 남기려고 해요. 팀이 작기 때문에 FE개발자 분께서 개발하신 부분을 디자이너 님이 모바일 화면으로 바로바로 확인하고 싶어 하셨어요. Nuxt 프로젝트를 모바일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1. nuxt.config.js 파일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server: { host: '0' }, 2. PC와 모바일을 같은 와이파이로 설정한다. 3. yarn dev로 프로젝트를 실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접속 가능한 url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저희 서비스의 BE 부분과 연동하는 코드인 127.0.0.1을 접속 가능한 url 로 변경해서 BE 와도 연결해 드렸어요! 매일 보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작업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