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Spring

BeanDefinitionStoreException: Failed to parse configuration class

out 폴더 내용을 다 삭제한 후 다시 실행 변경 전, Bean의 이름이 사라지지 않는 문제라고 한다. Reference https://hangjastar.tistory.com/242

소개

About Me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3년 차 Server Developer mean-ji입니다. 포항 지역 부동산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회사에 재직중입니다😄 미불유초 선극유종 누구나 시작할 수 있지만 끝까지 하는 사람은 드물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끝까지 성장하는 개발자 . 이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함께 일하고 싶은 개발자 처음과 같은 마음으로 늘 배우려는 개발자 이 두가지는 제가 일 하면서 항상 생각하는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Spring

DTO, VO, Entity

DTO(data transfer object) DTO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객체 주로 View, Controller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활용 DTO는 getter, setter 메서드 외의 비즈니스 로직은 포함하지 않는다. publ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 setter가 있는 경우, 가변 객..

TIL

Overriding, Overloading

Java에서 다형성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메서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이 있다고 한다. 오버로딩(Overloading) : 같은 이름의 메서드 여러개를 가지면서 매개 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다르도록 하는 기술 오버로딩은 메서드 오버로딩과 생성자 오버로딩이 있다.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여러개 정의하고,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유형의 호출에 응답 오버라이딩(Overriding) :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해서 사용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도 하위 클래스로 상속되어 하위 클래스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위 클래스에서 메서드를 재정의 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메서드 이름이 서로 같고, 매개 변수가 같고, 반환형이 같을 경우에 상속 받은 메서드를 덮어 ..

Spring

Builder 패턴

Lombok을 이용해 @Getter, @Setter를 사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는데, 빌더 패턴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꽤 많은 장점이 있는 것 같아서 공부해 보게 되었다. Builder 패턴은 Effective Java의 규칙인 것 같다. (최근 Effective Java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궁금해서 이 부분도 추가로 공부해 볼 예정이다.) 🥑 생성자에 인자가 많을 때는 빌더 패턴을 고려 빌더 패턴이란 복합 객체의 생성 과정과 표현 방법을 분리하여 동일한 생성 절차에서 서로 다른 표현 결과를 만들 수 있게하는 패턴이라고 한다. 레퍼런스 블로그 개발자 분은 생성자가 많아지면 빌더 패턴을 만드는 편이라고 한다. 이유로는 빌더 패턴을 활용하면 어떤 필드에 어떤 인자를 넣어 주었는지 명확히 알 수 있고, 넣어줄..

Spring

ResponseEntity

@Controller는 MVC패턴에서 View를 반환한다고 한다. 반면, @RestController는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반환한다고 한다. @RestController에서 ResponseEntity를 반환하는 형태로 사용을 했는데 ResponseEntity에 대해 정리해 놓으면 좋을 것 같아서 기록을 남기려한다. HttpEntity는 HttpHeader와 body를 가질 수 있다. Res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속받고, HttpStatus를 가지기 때문에 상태코드를 리턴한다. // 단순한 메세지와 상태코드 200을 리턴 return new ResponseEntity("success", HttpStatus.OK); // 객체를 응답하고 상태코드를 오류로 반환 Message me..

TIL

REST API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2000년도에 로이 필딩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소개되었다고 한다. 로이 필딩은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으로 그 당시 웹(HTTP) 설계의 우수성에 비해 제대로 사용되어지지 못하는 모습에 안타까워하며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REST를 발표했다고 한다. REST는 자원(Resource) - URI, 행위(Verb) - HTTP METHOD, 표현(Representations)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Reference https://meetup.toast.com/posts/92

Spring

Exception 공부

페이먼츠의 길은 멀고도 험한 것 같다ㅎㅎ;; 테스트 모드에서 카드결제, 빌링 프로세스는 완료했는데 Exception부분의 코드가 부족한 것을 느꼈다. 문제라고 생각해서 무조건 해결해야겠다고 생각했고, 제대로된 예외처리를 위해 공부한 기록을 남기려 한다. 레퍼런스 블로그를 보고 열심히 공부해 보았다. [제 공부를 위해 적으면서 머리에 넣은 거라 원본 글 보시는 게 더 좋을 거예요~!!] 먼저 스프링은 예외처리를 위해 다양한 어노테이션을 제공한다고 한다. 레퍼런스 블로그의 글은 일관성 있는 코드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Exception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통일된 Error Response 객체 Error Response 객체는 항상 동일한 Error Response를 가져야 한다. 이유: 그..

mean-ji
저년차 기록들